반응형
1.call signatures
타입스크립트 함수위에 마우스를 올려두면, 설명 나오는것이 call signatures
함수의 타입과 함수의 반환타입이 아니라, 인자의 타입과 리턴의 타입을 알려준다
call signatures를 먼저 만들어 놓고, 함수에 대입하여 js와 비슷하게 사용할 수 있다.
2.다형성
2-1오버로딩
오버로딩은 콜시그니쳐를 더 정석적으로 만드는 방법으로, 여러 콜 시그니쳐를 가질 수 있음,
3.제네릭
콜시그니쳐를 직접 정의하기보다는, 함수 사용형태를 보고 오버로딩을 자동으로 하게 사용하는 방법을 제네릭이라고한다(근데 이렇게 막 다 사용할 수 있게 해줄거면, any타입을 쓰는거나, js를 쓰는거나 다를게 없는데 뭐가 좋다는건지)
any와 같다고 생각했지만, any와는 다르게, 내가 인자로 사용한 코드에 문제가 있다면 타입스크립트가 그 에러를 잡아준다.
반응형
'개발.코딩'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타입스크립트 인터페이스 (0) | 2022.10.09 |
---|---|
타입스크립트 클래스 (0) | 2022.10.09 |
타입스크립트 타입 종류 및 변수의 타입 선언 (0) | 2022.09.18 |
타입스크립트를 사용하는 이유 (0) | 2022.09.04 |
코드스테이츠 finalProject 회고 (0) | 2021.12.20 |